🧑🏻‍💻 import {|} from 'hodong';

About

Resume

크리스마스 사이드 프로젝트

크리스마스 사이드 프로젝트

#사이드프로젝트
#front-end
#back-end
2024년 12월 26일

프로젝트 개요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단 5일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디자이너 1명과 개발자 2명이 모여 특별한 단기 이벤트 서비스를 만들었습니다. '루돌프의 수족냉증을 부탁해'는 친구들에게 따뜻한 편지를 주고받는 크리스마스 한정 서비스입니다.

제약된 시간과 리소스 속에서도 기획부터 UX/UI 설계, 화면 구성, 문제 대응까지 전 과정을 주도하며 프로젝트를 완성했습니다. 특히 크리스마스라는 시즌성과 한정된 기간을 활용해 사용자의 기대감과 몰입도를 극대화하는 것이 핵심 목표였습니다.

핵심 기능 및 UX 설계


양말 수집 메커니즘

서비스의 핵심은 **"양말 4개를 모아야 편지를 열람할 수 있다"**는 독특한 구조입니다. 사용자는 친구들로부터 양말(편지)을 선물받고, 4개가 모이면 루돌프가 따뜻해지면서 편지를 읽을 수 있게 됩니다. 이 메커니즘은 단순히 편지를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친구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기대감을 높이는 장치로 작동합니다.

크리스마스 한정 인터랙션

특별한 양말은 12월 25일에만 열리는 한정 인터랙션으로 설계했습니다. 이를 통해 크리스마스 당일까지 서비스에 재방문하도록 유도하고, 특별한 날의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사용자 플로우

서비스 흐름을 최소 단계로 설계하여 직관성을 높였습니다:

  1. 로그인 - 카카오톡 소셜 로그인으로 간편하게 시작
  2. 루돌프 생성 - 나만의 루돌프 캐릭터 만들기
  3. 링크 공유 - 친구들에게 내 루돌프 링크 전달
  4. 양말 수집 - 친구들로부터 편지(양말) 받기
  5. 편지 열람 - 4개가 모이면 편지 읽기

UI/UX 설계 과정


빠른 실행력

와이어프레임 설계부터 일러스트와 시각적 요소를 포함한 화면 구성까지 단 3일 만에 완료했습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사용자 경험의 핵심 흐름에 집중하여 불필요한 요소는 과감히 제거하고,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살릴 수 있는 비주얼에 집중했습니다.

사용자 테스트 및 검증

배포 전, 초기 10명 내외의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서비스 흐름과 직관성을 점검했습니다. 이후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해 실제 사용 데이터를 확인하며 UX 설계가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지속적으로 검증했습니다.

사용된 기술


기술 스택

  • AWS (EC2, Route53, S3 / CloudFront)
  • Frontend: Next.js / Tailwind CSS
  • Backend: Nest.js
  • Database: MySQL

서비스 시연


1. 카카오톡 소셜 로그인

초반 나의 루돌프를 생성하기 위해 카카오톡 소셜 로그인을 진행합니다.

2. 루돌프 생성

로그인 후 나만의 루돌프를 생성하게 됩니다.

3. 링크 공유

나의 루돌프가 생성되면 링크 복사 기능이 생깁니다. 해당 링크를 친구들에게 공유하여 나의 루돌프에게 양말(편지)을 선물할 수 있습니다.

4. 양말 보내기 & 편지 읽기

친구들이 양말을 보내고, 4개가 모이면 편지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프로모션 및 성과


마케팅 채널

MZ세대가 많이 모이는 커뮤니티와 SNS, 그리고 토스 광고를 활용해 직접 프로모션을 진행했습니다. 크리스마스 시즌의 특성과 독특한 서비스 컨셉이 입소문을 타면서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

목표 대비 실제 성과

초기 기획 목표는 조회수 1,000회와 로그인 생성자 50명으로 보수적으로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12월 17일 기준, 예상을 훨씬 뛰어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목표를 10배 이상 초과 달성하며 짧은 기간에도 의미 있는 임팩트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문제 해결 사례


크리스마스 편지 노출 오류

배포 직후, 크리스마스 당일(12월 25일)에만 열려야 하는 특별한 편지가 사전에 노출되는 오류를 발견했습니다. 이는 서비스의 핵심 경험을 해치는 심각한 문제였습니다.

즉시 개발팀과 협업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1시간 내에 수정 배포를 완료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UX는 단순한 화면 설계가 아니라, 사용자 경험 전체 흐름을 책임지고 문제를 신속히 개선하는 과정임을 체감했습니다.

회고 및 배운 점


제약 속에서의 빠른 실행력

5일이라는 짧은 기간과 제한된 리소스 속에서도, 명확한 목표와 우선순위 설정으로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기능을 구현하려 하기보다는, 핵심 경험에 집중하고 불필요한 요소를 과감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데이터 기반 UX 검증의 중요성

초기 사용자 테스트와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한 데이터 분석은, UX 설계가 실제로 의도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였습니다. 직관에만 의존하지 않고 데이터로 검증하는 습관이 중요함을 배웠습니다.

UX의 본질

UX는 화면 설계를 넘어 서비스 전체 경험을 책임지는 역할입니다. 기획, 설계, 테스트, 배포, 문제 대응까지 전 과정에 관여하며, 사용자가 겪는 모든 접점에서 최선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팀 협업의 힘

짧은 기간에 높은 퀄리티의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었던 것은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긴밀한 협업 덕분이었습니다. 서로의 영역을 존중하면서도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팀워크가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이었습니다.

단 5일간의 여정이었지만, 기획부터 배포, 문제 해결까지 프로젝트의 전 과정을 경험하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던 의미 있는 프로젝트였습니다.